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마블 vs DC 멀티버스 설정, 캐릭터, 영화 연출

by jppark73 2025. 2. 14.

마블과 DC는 모두 멀티버스(Multiverse) 개념을 활용하여 다양한 차원의 이야기를 펼쳐왔습니다. 하지만 설정 방식, 등장하는 캐릭터, 영화 연출 기법에서 차이를 보이며, 각각의 세계관을 독창적으로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마블과 DC의 멀티버스를 비교하여 설정 방식의 차이, 주요 캐릭터, 그리고 영화 속 연출 기법까지 자세히 분석해보겠습니다.

 

 

1. 멀티버스 설정 비교: 마블과 DC의 접근법

멀티버스란 기본적으로 서로 다른 차원(Parallel Universes)이 공존하는 개념으로, 같은 인물이라도 다른 차원에서는 전혀 다른 존재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마블과 DC는 멀티버스를 다루는 방식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비교 항목 MCU(마블) DCEU(DC)
멀티버스 기원 타임라인 분기 & 차원 이동 원래부터 다수의 우주가 존재
차원의 연결 방식 인커전(Incursion)’변종(Variants)’ 개념 크라이시스(Crisis)’플래시포인트(Flashpoint)’ 개념
시간 개념 TVA(시간 변이 관리국)가 시간선을 감시 플래시가 과거를 바꾸면서 새로운 시간선 생성
멀티버스 활용 방식 MCU의 주요 서사와 연결됨 독립적인 세계관도 존재 (ex. 조커, 더 배트맨)

 

마블(MCU)

멀티버스는 시간선 분기와 차원 이동을 통해 생성됩니다.

모든 차원은 MCU라는 하나의 흐름 안에서 서로 연결됩니다.

'인커전(Incursion)'이라는 개념을 통해 차원이 충돌하며 하나가 사라질 수도 있습니다.

 

DC(DCEU)

원래부터 여러 개의 평행 세계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설정입니다.

멀티버스가 크라이시스 이벤트로 충돌하면서 재편될 수 있습니다.

과거를 바꾸는 플래시포인트(Flashpoint)’ 개념이 강하게 작용합니다.

 

'마블' 포스터

 

2. 멀티버스 속 주요 캐릭터 비교

멀티버스 개념을 활용하면서 마블과 DC는 각각의 대표적인 멀티버스 캐릭터를 등장시켰습니다.

 

🔥 MCU(마블) 멀티버스 캐릭터

닥터 스트레인지(Doctor Strange)

멀티버스를 탐험하며 차원의 균형을 지키는 역할.

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에서 인커전 개념이 처음 등장.

 

캉 더 정복자(Kang the Conqueror)

멀티버스를 지배하려는 존재로, 수많은 변종(Variants)이 존재함.

앤트맨과 와스프: 퀀텀매니아, 로키시즌 2에서 등장.

 

스파이더맨(Spider-Man) 3개의 유니버스 공존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에서 토비 맥과이어, 앤드류 가필드, 톰 홀랜드의 스파이더맨이 한 자리에 모임.

멀티버스를 활용한 대표적인 사례.

 

DCEU(DC) 멀티버스 캐릭터

플래시(The Flash) 시간 여행 & 멀티버스 이동

플래시포인트코믹스에서 멀티버스를 바꾸는 핵심 캐릭터.

더 플래시(2023)에서 마이클 키튼, 벤 애플렉의 배트맨과 공존.

 

배트맨(Batman) 멀티버스 속 다양한 버전

마이클 키튼, 크리스찬 베일, 벤 애플렉 등 다양한 배트맨이 존재.

더 배트맨(2022), 조커(2019)처럼 멀티버스 속 독립적인 작품도 많음.

 

슈퍼맨(Superman) 평행 세계마다 다른 운명

크라이시스 온 인피닛 어스에서 여러 차원의 슈퍼맨이 등장.

다크 멀티버스에서는 슈퍼맨이 빌런이 되기도 함.

 

 

3. 영화 연출 방식 비교: MCU vs DC

멀티버스를 활용한 영화 연출 방식도 마블과 DC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 MCU(마블)의 멀티버스 연출 특징

차원 간 이동을 강조

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에서 여러 차원을 빠르게 이동하는 장면 등장.

다양한 비주얼 효과로 차원의 차이를 강조함.

 

변종(Variants)과 멀티버스 속 동일 캐릭터 활용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에서 토비, 앤드류, 톰 홀랜드가 같은 캐릭터이지만 다른 성격으로 표현됨.

 

스토리의 흐름 안에서 멀티버스를 활용

MCU는 멀티버스를 개별 작품의 요소가 아니라, 하나의 거대한 서사 속에서 연결함.

 

🎥 DCEU(DC)의 멀티버스 연출 특징

과거와 현재를 넘나드는 방식 사용

더 플래시(2023)에서 플래시가 시간여행을 하면서 멀티버스가 변화하는 장면이 강조됨.

 

다양한 영화 스타일을 허용하는 멀티버스

조커(2019)더 배트맨(2022)DCEU와 무관하지만, 멀티버스 설정 덕분에 별개의 세계로 존재 가능.

 

멀티버스를 활용한 레거시 캐릭터등장

더 플래시에서 마이클 키튼 배트맨이 복귀하여 과거 캐릭터들을 새로운 작품에 활용함.

 

 

4. MCU vs DC: 멀티버스 비교 분석

비교 항목 MCU(마블) DCEU(DC)
멀티버스 설정 시간선 분기 & 차원 이동 원래부터 다수의 평행 세계 존재
스토리 연결성 하나의 큰 흐름 속에서 멀티버스 활용 개별 작품마다 독립적이거나 연결됨
주요 이벤트 인커전, TVA, 변종 크라이시스, 플래시포인트
영화 연출 방식 차원 이동과 변종 활용 과거 영화와 연결, 시간 여행 강조
대표 작품 닥터 스트레인지,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로키 더 플래시, 조커, 크라이시스 온 인피닛 어스

 

 

📌 결론

MCU는 멀티버스를 하나의 거대한 서사로 연결하며, 차원 간 이동과 변종 개념을 강조

DC는 멀티버스를 독립적인 세계로 설정하며, 크라이시스와 플래시포인트 같은 사건을 통해 차원을 연결

MCUVFX를 활용한 시각적 차원 이동이 강조되며, DC는 과거 영화의 캐릭터를 재활용하는 방식으로 멀티버스를 표현

 

앞으로 두 유니버스가 멀티버스를 어떻게 확장할지 기대해봅시다! 🎬